본문 바로가기
건강/건강 : 정보

유방 발달 단계별 특징과 선천성 이상

by blogblocky 2025. 9. 26.

유방의 발달

유방의 발달은 여성의 성장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생리적 변화 중 하나입니다. 유방의 발달은 태아 시기부터 시작되며 사춘기와 임신, 그리고 수유를 거치면서 완전한 기능적 성숙을 이루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방의 발달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고 관련된 선천성 이상과 특징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태아기 유방 발달

유방 발달은 임신 약 6주차부터 시작됩니다. 이 시기에 외배엽 비후 부위가 생기며 이를 유방 융기라고 부릅니다. 유방 융기는 ‘유선’이라고도 하며 처음에는 여러 쌍으로 나타나지만 최종적으로는 한 쌍만 남아 실제 가슴을 형성합니다.

 

출생 시점까지는 주요 수유관만 발달된 상태이며 유방 조직은 아직 완전히 성숙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유방 발달은 출생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진행됩니다.

 

사춘기 유방 발달

유방 발달의 핵심 시기는 사춘기입니다. 보통 9세에서 16세 사이에 유방의 성숙이 이루어지며, 이 시기에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에스트로겐은 결합조직을 성장시키고 혈관 형성을 유도합니다. 이로 인해 지방 축적이 증가하여 유방이 부드럽고 볼륨감 있게 변화합니다.

 

프로게스테론은 유방의 말단 소엽-관 단위(TDLU)의 성장을 촉진하여 수유 준비를 가능하게 합니다.

 

성 조숙증은 유방 발달, 월경 시작, 겨드랑이 털과 음모, 여드름이 동반되며 8세 이전에 발생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성선 자극 호르몬(LH, FSH)의 조기 분비로 난소가 과자극되는 경우입니다.

 

이 외에도 뇌하수체 종양, 부신 종양, 원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성인기와 임신기의 유방 발달

유방 조직은 초경 이후 약 2년이 지나야 완전한 성숙 단계에 도달합니다. 그러나 임신과 수유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기능적으로 완전히 성숙했다고 보지 않습니다.

 

임신이 되면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유방의 선과 소엽이 더욱 발달하여 수유를 준비하게 됩니다. 결국 유방의 발달은 임신과 수유를 통해 완전히 성숙하게 되는 것입니다.

 

유방 발달의 일반적인 특징

유방은 보통 좌우가 대칭적이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왼쪽이 더 크게 발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정상적인 변이로 대부분의 여성에서 흔히 관찰되는 현상입니다.

 

유방의 선천성 이상

유방 발달 과정에서 여러 가지 선천성 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유두 함몰(Inverted nipple)

선천적일 경우 양측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관 외피증이나 도관 주위 유방염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 성인기에 새롭게 발생하거나 한쪽만 생긴다면 병적 원인을 확인해야 합니다.

 

2. 무유두증(Athelia)

유두가 선천적으로 없는 상태입니다.

 

3. 다유두증(Polythelia)

액세서리 유두가 유방 융선(우유 라인)을 따라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상 유두보다 약간 낮게 위치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남녀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가장 흔한 선천성 기형입니다.

 

4. 무유방증(Amastia)

유방과 유두 모두 발달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5. 다유방증(Polymastia)

유두 없이 유방 조직만 보조적으로 발달하는 경우입니다.

겨드랑이 부위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며, 남성에게도 종종 나타납니다.

 

6. 무유방조직증(Amazia)

정상적인 유두와 유륜은 있으나 기능적 유방 조직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7. 폴란드 증후군(Poland syndrome)

한쪽 흉부 근육이 부족하거나 발달이 덜 되어 나타나는 증후군입니다.

유방 저형성과 상지 이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8. 과잉 유방 조직 (supranumerary breast tissue)

1915년 카자바 박사가 분류한 슈퍼넘버 유방 조직에는 다유두증(polythelia)과 다유방증(polymastia)이 포함됩니다. 이 중 가장 흔한 형태는 다유두증이며 우유선(유방 융선)을 따라 추가 유두가 형성되는 경우입니다.

 

정리

유방 발달은 태아기부터 시작하여 사춘기, 성인기, 임신과 수유를 거치면서 점차 완전한 성숙을 이룹니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상적인 변이부터 다양한 선천성 이상까지 여러 가지 양상이 존재합니다.

 

 

 

 

 

※ 이 글은 의학적인 조언을 제공하지 않으며 정보를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안내입니다.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출처: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대한해부학회 교재, 대한내분비학회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