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건강 : 초음파

유방 구조물과 해부학적 특징 개요

by blogblocky 2025. 9. 25.

유방 구조물과 해부학적 특징에 대한 이해

유방 구조물은 단순히 외형적인 부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해부학적 층과 기능적 요소까지 포함하는 복합적인 기관입니다. 특히 유방은 여성의 건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유방 구조물에 대한 이해가 매우 필요합니다.

 

이번 글은 유방 해부학 시리즈의 첫 글로 전체적인 구조와 특징을 정리하는 개요 성격의 포스팅입니다.

 

유방 구조물의 기본 개요

유방은 흔히 유선이라고도 불리며 우유를 분비하는 기관입니다. 발생학적으로 유선 (milk line)이라고 불리는 부위에서 발달하며 이 라인은 겨드랑이에서 서혜부까지 이어집니다. 드물게 이 라인 위에 추가 유방 조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부유방이나 부유두라고 합니다.

 

유방 구조물의 층별 해부학

초음파 검사에서 확인되는 유방 구조물은 여섯 개의 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피부층

2. premammary layer

3. mammary layer

4. retromammary layer

5. 근육층 (muscle layer)

6. 흉벽 (chest wall)

 

이 층들은 각각 해부학적·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피부층

피부층은 두께가 보통 0.5~2mm이며, 표피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피지선과 모낭이 포함되어 있고, 가슴 밑 주름선에서는 두꺼워지며 나이가 들수록 얇아집니다.

 

유두와 유륜

유두는 발기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5~20개의 작은 배출관이 모여 우유가 분비됩니다. 유륜은 유두를 둘러싼 색소성 피부 영역으로 평활근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유륜에는 몽고메리샘이 있어 수유기에 유성 물질을 분비하며 이는 보호 기능을 합니다. 샘의 개구부가 융기되며 모르가니 결절이 형성되기도 합니다.

 

유선과 유방 조직

유방의 기능적 중심은 유선층입니다. 유선은 소엽 단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유기에 활성화됩니다. 특히 상외측 사분면은 유방암이 흔히 발생하는 부위이므로 임상적으로 중요합니다.

 

겨드랑이 꼬리

유방 조직은 상외측으로 뻗어 겨드랑이로 이어지는데 이를 겨드랑이 꼬리(Tail of Spence)라고 합니다. 이 부위는 유방암 발생 및 전이가 흔해 반드시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유방의 위치와 흉근 관계

유방은 대흉근 앞에 위치하며 위로는 2번째 갈비뼈부터 아래로는 6번째 갈비뼈까지 뻗어 있습니다. 소흉근은 대흉근 뒤쪽에 있으며 유방의 해부학적 경계와 관련이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 시 갈비뼈가 종괴처럼 보일 수 있어 감별이 필요합니다.

 

혈관과 신경 분포

유방은 주로 내유동맥과 외측흉동맥에서 혈류 공급을 받고 신경은 늑간 신경이 담당합니다. 특히 4번째 늑간 신경이 유두의 감각을 지배합니다.

 

겨드랑이와 림프절

겨드랑이는 어깨 관절 바로 아래의 피라미드 공간으로, 상완 신경, 겨드랑이 동맥·정맥, 림프절, 지방이 포함됩니다. 유방암 전이는 주로 겨드랑이 림프절을 통해 이루어지며 겨드랑이 상태는 병기 평가와 예후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임상적 의미

유방 구조물의 이해는 단순한 해부학 지식이 아니라 유방 질환의 조기 진단, 치료, 예후 예측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영상 검사 해석, 유방암 수술, 수유 관련 문제 해결에 있어 필수적인 지식입니다.

 

지금까지 유방 구조물의 개요를 살펴보았습니다. 이 글은 유방 해부학 시리즈의 시작 글로 이후 포스팅에서는 개별 구조를 더 깊이 다룰 예정입니다.

 

예를 들어 유두와 유륜의 세부 해부학, 유방 초음파에서 보이는 층별 특징, 겨드랑이 림프절과 유방암 전이 경로 등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이어질 시리즈 글도 참고해 주시면 유방 해부학을 더 깊이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의학적인 조언을 제공하지 않으며 건강 정보를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안내입니다.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출처: 두산백과, 서울아산병원 의학정보, Radiopaedia